미디어 다음, 조중동 그 후

촛불 정국이 한참이던 지난 7월 부터 일부 신문사들이 미디어 다음에 기사 송고를 중단했다. 뉴스 송고 중단 사태 전 상승세이던 미디어 다음 ‘뉴스’ 접속 추이 라는 글 이후 4개월 정도가 경과했다. 그 동안 어떻게 바뀌었을까?

우선 7월 초 조선, 중앙, 동아일보 이후  몇 개 신문사가 뉴스 송고는 계속해서 중단했다.

  • 7월 4일:  조선, 중앙, 동아일보 기사 송고 중지
  • 8월 1일:  매일경제, 한국경제 기사 송고 중지
  • 9월 1일;  문화일보 기사 송고 중지

이제 각 포털 사이트의 7월 이후 뉴스 접속 추이를 보자. 위의 도표는 코리안클릭의  월간 페이지뷰(PV)와 접속자수(UV), 아래 도표는 랭키닷컴의 주간 페이지뷰 도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선 촛불 정국이 최고조가 되던 5월말을 정점으로 네이버와 다음 모두 PV가 감소한다. 뉴스 페이지뷰가 떨어진다는 것은 그 만큼
이슈꺼리가 줄어들었음을 의미한다. 조중동이 미디어 다음에 뉴스를 공급을 중단한 7월의 경우에도 양 사 모두 페이지뷰가 떨어진다.

하지만, 북경 올림픽이 열린 8월 중순의 경우 양사 페이지뷰가 급격히 증가한다. 그런데, 네이버가 다음에 비해 더 큰 폭으로
상승한다. 올림픽은 비 정치 이슈인데다 검색을 통한 유입이 많기 때문에 네이버의 뉴스 소비가 대폭 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8월 올림픽 이후의 트래픽은 양사 모두 다시 내리막을 타고 있다. 하지만, 미디어 다음의 경우 9월에 비해 10월에 페이지뷰가 다시 올라가고 있고 네이버는 소폭 내리막이다.

방문자수를 나타내는 UV의 경우 4월 이후 미디어 다음이 소폭 상승한 이후 큰 변동이 없는 상태이다. 네이버의 경우 UV는 미디어 다음 보다 우위에 있는데 이는 검색 결과를 통해 유입되는 양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뉴스 소비량은 여전히 네이버에 비해 다음이 비교 우위에 있고 뉴스 기사 송고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모습이다.

오히려 주목할 점은 네이트 뉴스가 침체를 겪는 동안 야후!뉴스가 조금씩 회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글은 개인적인 의견이며 본인이 속한 Daum 의 공식 입장이 아니며, 사실 여부 확인과 투자 판단
책임은 전적으로 독자에게 있습니다.

- ;

Disclaimer- 본 글은 개인적인 의견일 뿐 제가 재직했거나 하고 있는 기업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거나 그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실 확인 및 개인 투자의 판단에 대해서는 독자 개인의 책임에 있으며, 상업적 활용 및 뉴스 매체의 인용 역시 금지함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채널은 광고를 비롯 어떠한 수익도 창출하지 않습니다. (The opinions expressed here are my own and do not necessarily represent those of current or past employers. Please note that you are solely responsible for your judgment on checking facts for your investments and prohibit your citations as commercial content or news sources. This channel does not monetize via any advertising.)

여러분의 생각 (5개)

  1. Vincent 댓글:

    Nate는 뉴스로서는 이렇다 할 특징이 없는데 비해 야후!는 가끔씩 깜짝 놀랄 대문 편집(MB를 심하게 까는 기사를 전면 배치한다든지)을 해서 주목을 끌 때가 있기 때문 아니겠습니까

  2. blog.2all.kr 댓글:

    1.난 블로그에 글을 쓰고 나면 관련 포스트를 검색해서 트랙백(엮인글, 관련글 등으로 부르기도 함)을 건다. 열 개에서 스무 개 정도되는 글에 트랙백을 꼭 걸어준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방문자 수가 늘어나길 바라는 것보다는, 애써 쓴 글을 관심있는 사람들이 꼭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 때문이다.그런데 내가 관심을 갖는 주제는, 시사나 경제 일반을 제외하고는, 좀 특수한 것들이다. 지역이나 소규모 메타블로그, 저소득층과 사회적 약자의 블로그 교육 등,…

  3. 나인테일 댓글:

    야후 뉴스 편집이 꽤 볼만한 경우가 많지요 그러고보니..;

  4. 야마 댓글:

    야후뉴스의 성장은 뉴스때문이아닙니다. 웹툰을 대규모소싱해 뉴스 밑으로 넣었기 때문입니다. 미디어 다음도 뉴스밑에 웹툰을 둬서 뉴스 아닌 지표를 더하고 있죠.

  5. 두팩 댓글:

    야후의 경우, 약간은 선정적인(?) 연예기사를 많이 메인에 배치하더라구요. 화보나 가쉽성 기사같은거 말이죠..